[SG_HATT NEWS, 알브레인]=한국미술문화포럼(대표 이병국)은 3월 27일(목) 오후 2시, 서울 인사동 태화빌딩 B1(그레이트하모니홀)에서 ‘한국미술협회 정상화를 위한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미술계 및 문화예술 관련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하여 ‘위기-희망과 대안’을 주제로 한국미협의 운영 정상화 및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대법원의 제25대 이사장 선거 당선무효 판결과 그로 인한 집행부 공백 문제를 해결하고, 협회의 신뢰 회복 및 공정한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차기 집행부 구성 과정에서의 투명성 확보, 미술계의 발전 방향 등이 주요 논의 대상으로 다뤄졌다.

핵심 논의 및 발표 내용
포럼은 이병국 대표의 ‘정직하고 품격 있는 한국미협’이라는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총 4개의 주제 발표와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먼저, 박명인 미술평론가는 ‘한국미술협회 이대로 방관할 수 없다’라는 발표를 통해 협회의 불투명한 운영과 선거 과정의 논란을 지적하며 공정한 선거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배성미 수원과학대학교 교수는 ‘한국미협의 신뢰성 회복과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내부 혁신과 운영 투명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며, 올바른 리더의 선출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임효정 더무브 대표는 ‘바깥에서 바라보는 미협에 대한 미술인의 시선과 미협에 바라는 점’이라는 발표에서 협회의 공정성을 강조하며 젊은 예술가들의 참여 확대와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어 배기열 융합예술원 원장은 ‘한국미술협회, 해외에서 답을 찾다’를 주제로 글로벌 미술협회의 운영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미협이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조직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향후 과제 및 정책 제안
포럼에서는 한국미협이 정부 및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정책적 지원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신진 예술가 지원 확대 및 해외 미술 단체와의 교류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한국미술문화포럼은 이번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식 의견서를 작성하여 미술계 및 정부 관계기관과 공유하고, ‘한국미협 정상화 추진위원회’ 발족 등의 후속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병국 대표는 “이번 포럼이 한국미협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인 논의의 장이 되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협회의 발전적인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라며, “미술계가 한국미협을 중심으로 하나로 뭉쳐야 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위한 제도적 개혁과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알브레인이 한국미술협회를 응원하는 마음에서 이 노래를 만들었음.